본문 바로가기
미국 이민과 유학

[2025 미국 관세 정책] 트럼프의 10% 기본 관세 발표, 물가에 미칠 영향은?

by shiloh-S 2025. 4. 5.

2025년 4월, 트럼프 전 대통령이 발표한 새로운 관세 정책! 나라별 관세율부터 주요 품목, 미국 물가에 미칠 영향까지 자세히 정리했습니다.

 

🗞️ 트럼프, 2025년 4월 '10% 기본 관세' 전격 발표

2025년 4월 2일,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은 '해방의 날(Liberation Day)' 연설을 통해 모든 수입품에 대해 기본 10%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새로운 무역 정책을 발표했습니다. 또한, 무역수지 적자가 심각한 나라에는 추가 관세를 부과하는 '상호주의 관세(reciprocal tariff)'도 도입됩니다.

🌍 나라별 관세율: 중국, 베트남, 한국 포함

관세는 일괄적인 10% 기본 관세 외에, 국가별로 아래와 같은 추가 세율이 적용됩니다.

  국가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총 관세율 (%)

 

중국 54% (20% + 34%)
베트남 46%
캄보디아 49%
방글라데시 37%
태국 36%
인도 26%
한국 25%
일본 24%
유럽연합(EU) 20%

📅 적용 시점: 2025년 4월 9일부터 발효

 

🧾 어떤 품목에 영향을 줄까?

관세는 대부분의 수입품에 적용되지만, 일부 품목은 기존의 높은 관세 혹은 국가 안보 이유로 제외됩니다.

관세 대상 주요 품목:

  • 의류 및 신발
  • 전자제품 (노트북, 휴대폰 등)
  • 식품 및 생필품
  • 가구류

제외 품목:

  • 철강 및 알루미늄 (기존 25% 관세 적용 중)
  • 자동차 및 부품 (별도 관세 적용)
  • 일부 에너지·광물 자원 (미국 내 생산 불가 항목)

💵 미국 물가에 어떤 영향?

연방준비제도(Fed) 의장 제롬 파월은 이번 관세 조치가 인플레이션을 자극하고 경제 성장률을 둔화시킬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.

  • 대형 유통업체(월마트, 베스트바이 등)는 가격 인상 가능성 검토 중
  • 소비재 가격 인상 → 소비자 지출 위축
  • 무역 보복 우려 → 미국 농산물 및 제조업 수출 타격 가능성

🔎 소비자와 기업은 어떻게 대비할까?

✔ 소비자:

  • 생필품 및 전자제품 중심으로 미리 구입하거나 대체품 검토
  • 할인 시즌 적극 활용

✔ 기업:

  • 공급망 다각화 또는 미국 내 생산 확대 고려
  • 수입 의존도 높은 품목의 가격 전략 재정비 필요

✍️ 마무리: 물가 상승, 글로벌 무역 전쟁의 서막?

2025년 트럼프의 관세 정책은 단기적으로 미국 내 물가 상승을 유발하고, 장기적으로는 글로벌 무역 구조에 큰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습니다. 특히 수입에 의존하던 소비재 가격이 오르며 소비자 부담이 증가할 것으로 보입니다.

무역과 물가에 관심 있는 분들이라면 이번 정책의 향방을 꾸준히 지켜보는 것이 좋겠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