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미국 이민과 유학

미국 실업급여 조건, 1주일 일한 사람도 신청 가능할까?

by shiloh-S 2025. 5. 5.

미국에 거주하면서 일을 하다가 실직하게 되면, 가장 먼저 떠오르는 제도가 바로 실업급여(실업수당, Unemployment Insurance)입니다.
그런데 이 실업급여가 ‘누구나 받을 수 있는 것인지’, 혹은 ‘얼마나 일해야 받을 수 있는지’ 궁금한 분들이 많습니다.
특히 최근에는 “1주일만 일했어도 받을 수 있나요?”라는 질문을 자주 보게 되는데요.
오늘은 미국 실업급여 수급 자격 중 '근무 기간'과 '소득 조건'에 대해 알기 쉽게 정리해드릴게요.

실업급여, 1주일만 일해도 신청 가능할까?

짧게 말하면, 1주일만 일했다고 해서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.
미국의 실업급여 제도는 주마다 조금씩 다르지만, 대부분 아래와 같은 공통 조건을 가지고 있습니다:

  1. 최근 일정 기간(보통 1년) 동안
  2. 적어도 두 개 분기 이상에서 유급 근무 이력이 있어야 하며
  3. 그 중 한 분기에서 최소 소득 기준을 넘겨야 합니다

여기서 말하는 ‘분기(Quarter)’란 3개월 단위입니다.
따라서, ‘23개 분기에서 소득’이라는 말은 대략 **69개월 간의 근무 이력**이 필요하다는 의미로 볼 수 있어요.

즉, 1주일만 일하고 바로 실직한 경우에는 소득 요건을 충족하기 어려워 실업급여 수급이 거의 불가능합니다.

그럼 어느 정도 일해야 받을 수 있을까?

예를 들어 뉴욕주(New York State)의 경우를 보면, 2024년 기준으로 아래 조건이 적용됩니다:

  • 기준 기간(Base Period) 중 최소 한 분기에서 $3,100 이상의 소득이 있어야 하고
  • 총소득은 이 금액의 1.5배 이상이어야 하며
  • 적어도 두 개 분기 이상에서 근무 이력이 있어야 합니다

즉, 단기 아르바이트나 인턴처럼 잠깐 일한 기록만 있는 경우에는 신청 자체가 어렵습니다.
하지만 지난 1년 동안 꾸준히 일해 왔다면, 해고나 계약 만료 등 비자발적 사유로 실직했을 때 실업급여 신청이 가능합니다.

분기는 뭐고, 얼마나 봐야 할까?

앞서 말한 ‘분기’는 미국에서 실업급여 조건을 따질 때 가장 기본이 되는 단위입니다.
각 분기는 다음과 같이 구분됩니다:

  • 1분기: 1월 ~ 3월
  • 2분기: 4월 ~ 6월
  • 3분기: 7월 ~ 9월
  • 4분기: 10월 ~ 12월

실업급여 신청 시, 보통 최근 1년 ~ 1.5년 동안의 소득을 4개 분기로 나누어 평가합니다.
이때 두 개 이상의 분기에서 꾸준한 소득이 있어야 하며, 어느 한 분기라도 소득이 너무 적으면 탈락될 수 있어요.

실업급여 수급 자격 요약

항목 조건
근무 기간 최근 최소 6개월9개월 이상 (23개 분기)
소득 기준 한 분기 최소 $3,100 이상 (뉴욕 기준)
실직 사유 본인 과실이 아닌 해고 또는 계약 종료 등
구직 상태 현재 구직 중이며 근로 의사 있음

마무리하며

정리하자면, 1주일 일한 기록만으로 실업급여를 받는 건 어렵습니다.
실업급여는 일정한 근무 기간과 소득 요건이 충족돼야 가능하기 때문에,
‘얼마나 오래, 꾸준히 일했는가’가 핵심 포인트라고 할 수 있습니다.

미국에 거주하거나 이민을 준비 중이신 분들, 혹은 유학생으로 아르바이트하다가 실직하신 분들도 이 기준을 참고하셔서 실업급여 자격을 확인해보시길 바랍니다.